5분발언서 집행부에 대안 마련 촉구

▲가선숙 서산시의원이 25일 5분발언을 하고 있다.
▲가선숙 서산시의원이 25일 5분발언을 하고 있다.

[충청뉴스라인 방관식 기자] 가선숙 서산시의원이 25일 열린 제310회 제2차 정례회 제1차 본회의 5분발언에서 ‘식품 사막화 현상’의 대안 마련을 집행부에 촉구했다. 

식품 사막(Food Desert)이란 신선한 식품을 판매하는 상점이 부족하거나 멀리 떨어져 있어 주민들이 건강한 먹거리에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을 말한다.

가 의원은 “2020년 농림어업총조사에 따르면 전국 행정리의 73.5%가 소매점이 없는 마을로 조사됐다”면서 “충남 역시 전체 행정리의 4분의 1이 식품 사막 상태로 그 비율은 매년 높아지고 있어 이는 단순한 유통 불편을 넘어 지역의 생활권이 붕괴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우려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식품 사막을 농촌 인구 감소와 교통 여건 취약 등으로 소매점이 사라져 식료품과 생필품을 구하기 어려운 지역으로 정의한다. 

실제로 충남연구원의 ‘충남 쇼핑 약자 기초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서산시의 쇼핑 약자는 872명으로 65세 이상 인구의 3.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읍 지역 46명, 면 지역 667명, 동 지역 159명이며, 이미 팔봉·부석·고북·운산 그리고 장동·양대동·죽성동 등 석남동 외곽 지역은 쇼핑 빈곤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되고 있다.

가 의원은 정부의 ‘가가호호 농촌 이동장터’ 사업에 대한 아쉬움도 지적했다.

식품 사막화는 단순한 유통 문제가 아니라 건강, 돌봄, 복지, 지역공동체의 존속과 직결된 사회문제로 접근해야 하는데 이 사업은 단순한 생필품 접근성의 문제로 한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진시가 ‘가가호호 이동장터’를 시범으로 운영하며 ‘당찬가게’와‘당찬버스’를 통해 복지서비스도 병행하고 있는 것과 해남군이  전국 최초로 ‘농촌 식품사막화 해소를 위한 공공형 생활편의서비스 지원 조례’를 제정한 것을 예로 든, 가 의원은 세 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첫째는 서산형 이동슈퍼 시범 사업 도입으로 정부 공모 사업 여부와 관계없이 시 자체 예산으로 시범운영을 실시해 서산 지역 실정에 맞는 모델을 조기에 검증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식품 사막 해소를 위한 조례 제정 검토, 셋째는 복지와 지역경제를 함께 살리는 통합모델을 구축 등이다.

가선숙 의원은 “식품 사막은 단순히 ‘가게가 멀다’라는 문제가 아니다”라며 사회적 약자의 고립, 지역공동체의 단절, 그리고 농촌의 소멸과 직결되는 구조적 문제인 만큼 서산시가 복지의 시각에서 이 문제를 바라보고,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