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동군 송전탑·개폐소 반대 대책위원회는 19일 초고압 송전탑 건설 반대를 촉구하며 건강권 위협에 상여 퍼포먼스로 시가행렬을 하고 있다.
▲ 영동군 송전탑·개폐소 반대 대책위원회는 19일 초고압 송전탑 건설 반대를 촉구하며 건강권 위협에 상여 퍼포먼스로 시가행렬을 하고 있다.

[충청뉴스라인 김대균 기자] 충북 영동군 송전탑·개폐소 반대 대책위원회는 19일 정부와 한국남부발전이 추진 중인 345kV 초고압 송전선로 및 개폐소 건설 계획 철회를 강력히 촉구했다.

대책위는 "이 사업이 영동군민의 건강과 생존권을 침해하고 지역 농업·문화·관광 기반을 훼손할 우려가 크다" 며 “영동을 더 이상 수도권 전력 공급의 희생지로 삼아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와 남부발전은 수도권 산업단지 전력 공급을 위해 58km가 넘는 초고압 송전선을 영동에 관통시키려 하고 있다”며 “전기는 서울로 가고 피해는 영동군민에게 돌아오는 구조를 더 이상 용납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 “영동은 희생의 땅이 아니라 우리가 지켜야 할 삶의 터전”이라며 군민들과 반대 의지를 피력했다.

송전탑 건설에 건강 위험성도 주요 문제로 제기됐다.

대책위는 “송전선 주변에서 암, 심혈관 질환, 뇌질환 등이 꾸준히 지적돼 왔다”며 “여기에 추가 송전탑과 개폐소까지 설치된다면 주민들은 평생 불안 속에 살아야 한다”고 우려했다.

특히 전력정책이 국민의 건강을 담보로 추진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지역 경제 및 문화·관광 산업의 피해도 지적됐다.

대책위는 “포도·와인의 도시, 국악의 고장 영동의 정체성이 송전탑 하나로 훼손될 수 있다”며 “농지 가치 하락, 주거환경 악화, 관광 이미지 실추 등 영동의 미래 산업 기반이 흔들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대만을 위한 반대가 아니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대책위는 지중화, 노선 재조정, 분산형 전력체계 도입, 주민 참여 검증 등 “이미 여러 지역에서 검증된 대안을 제사한다”며 "영동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과천·성남·세종 등에서 적용된 지중화, 밀양·광명·홍천 등에서 실시된 노선 조정 사례를로 있다" 며 "영동만 예외일 이유는 없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송전탑·개폐소 건설 계획 즉각 철회 ▶영동군민의 생존권 보장 ▶수도권 중심 전력정책 중단 ▶영동 농업·문화·관광 보호 ▶지중화·노선 조정 등 대안 논의 착수 등을 정부에 공식 요구했다.

대책위는 “이 싸움은 단순한 반대가 아니라 영동군민 전체의 경고이자 약속”이라며 “끝까지 싸워 영동의 삶과 미래를 지켜낼 것”이라고 한 목소리를 냈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