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나 운동장’ 사업 기초체력 향상 등 유지 미래 인재 육성
무상급식·특수교육 등 핵심 학생 지원 유지

▲최동하 기획국장이 내년도 본예산안 3조6천155억원 편성에 대한 미래 육성 사업을 설명하고 있다./충북교육청
▲최동하 기획국장이 내년도 본예산안 3조6천155억원 편성에 대한 미래 육성 사업을 설명하고 있다./충북교육청

[충청뉴스라인 김대균 기자] 충북도교육청이 2026년도 충북도교육비특별회계 본예산안을 총 3조6천155억 원 규모로 편성해 충북도의회에 제출했다.

전년 대비 1천965억 원, 약 5.2% 감소한 수치다.

올해 예산 감소는 중앙정부 이전수입 감소와 인건비·물가 상승 등 경직성 경비 확대가 겹친 결과다.

도교육청은 전 부서 지출 구조조정과 기금 활용을 통해 핵심 정책을 지키는 ‘선택과 집중’ 전략을 적용했다.

충북형 체육·독서·예술 프로그램을 학교 현장으로 확대한다.

‘어디서나 운동장’ 사업에 82억 원을 편성해 기초체력 향상과 스포츠클럽, 스포츠강사 배치를 지속 지원한다.

독서 문화 정착을 위한 ‘언제나 책봄’에는 36억 원, 예술 감수성과 창의력 배양을 위한 ‘나도 예술가’ 사업에는 12억 원이 반영됐다.

도교육청은 이들 사업을 통해 AI 시대에 요구되는 자기 조절 능력과 창작 역량을 강화하는 전인교육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유아부터 고등학교까지 학력 맞춤 지원을 강화하며 실력다짐 프로젝트·기초학력 클리닉·수학·과학 역량 강화 등 총 148억 원을 투입한다.

고등학교 단계에서는 고교교육력 도약, 고교학점제 운영, 직업계고 실습환경 개선 등 434억 원이 배정됐다.

AI 기반 학습지원 플랫폼 ‘다채움’ 고도화에 97억 원을 투자해 온라인 자기주도학습과 공공·민간 교육서비스 연계를 강화한다.

지역특화 인재 양성을 위한 국외연수 프로그램에도 30억 원을 편성했다.

급식시설 현대화, 환기시설 개선, 학교체육시설 보완, 공기질 관리 등 안전 환경 조성에도 예산을 집중했다.

석면 제거, 내진보강 등 6대 학교 안전사업과 과대과밀 해소를 위한 학교 신설, 그린스마트스쿨 공간 혁신 사업도 지속 추진된다.

도교육청은 “안전과 환경 개선은 중단 없는 핵심 영역”이라고 밝혔다.

무상급식, 누리과정 지원, 교복비·현장체험학습비 지원, 늘봄교실 및 방과후학교 운영 등에는 총 4천256억 원을 배정했다.

특수교육과 다문화·북한이탈주민 학생 지원도 유지하며, “모든 학생이 차별 없이 배우고 성장할 수 있는 조건 마련”에 방점을 찍었다.

학교운영 기본경비는 감축 없이 유지해 공립·사립학교 운영비 3천971억 원을 지원한다.

최동하 기획국장은 “재정압박 속에서도 현장의 교육활동이 흔들리지 않도록 학교 중심 지원을 강화했다”고 말했다.

도교육청은 “2026년도 본예산은 재정 여건이 엄중한 상황에서도 학생의 안전과 교육활동 본질을 지키기 위해 선택과 집중의 원칙으로 편성했다”며 “교육격차를 줄이고 모든 학생이 공정한 기회 속에서 배우고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