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 대피소 284개소 '안전 보장 못해'
비상물품 3천700여만원…내년 예산 늘려 '순차적 비치'
청주 동남지구 등 대피소 '한곳도 없어'

청주시 한 아파트 지하가 민방위 주민대피시설로 지정됐지만 안내표지판이 민방위 업무지침 변경에도 불구하고 외국어 병기 표기 교체가 지지부진한 실정이다./김대균 기자
청주시 한 아파트 지하가 민방위 주민대피시설로 지정됐지만 안내표지판이 민방위 업무지침 변경에도 불구하고 외국어 병기 표기 교체가 지지부진한 실정이다./김대균 기자

 

최근 북한의 미사일 도발과 울릉도 공습경보, 이태원 핼러윈 참사로 안전 불감증에 대한 재발 방지책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사고 유형만 다른 뿐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지방 또한 예외일 수 없기 때문이다. 이 계기로 두 차례에 걸쳐 실태를 되돌아 봤다./편집자 주

[충청뉴스라인 김대균 기자] 충북 청주지역이 전시 상황을 대비한 민방위 대피소 관리에 허술한 것으로 드러났다.

시는 민방위 기본법과 민방위 경보발령·전달 규정에 따라 전시 상황 지정 대피소 284곳이다.

대피소는 물품이 적치돼 있고, 민간 대피소는 셔터가 닫혀 있는 등 위급 상황 시에 제구실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했다.

행정안전부 민방위 업무 지침에 따르면 대피소는 지방자치단체·공공·민간 등 관리 주체 소속을 불문하고 24시간 개방해야 한다.

지정 대피소에는 식탁·교본 등 용도에 맞는 시설·물품이나 비상대비용품만이 비치 가능할 뿐 용도 외 물품은 적치 불가하다.

민방위 대피소는 자연 재해에 대한 육상 대피소와 달리 포격이나 포탄을 피하기 위해 아파트,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대형빌딩 등 지하시설(공공·민간)로 지정하고 있다.

청주시는 10월 20일 기준 인구( 84만6천413명) 대비  69만8천290㎡의 민방위 대피소로, 확보한 대피소 면적은 110만3천367㎡로 158% 확보율을 보이고 있다. 현실은 맞지 않다.

확인 결과, 아파트 주차장 내부는 평일 오전 11시를 넘긴 시간에도 자동차로 빽빽했다.

정부 기준 면적에 가구당 대피 인원이 대피할 만큼 현실적인 면적 확보가 시급해 보인다.

대피공간 출입구로는 격리할 수 있는 차단문도 없어 화학사고 등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다.

또 출입구에는 급경사로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나 노약자는 내려가기 쉽지 않고, 안내 표지판도 없어 개선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주차장 입구에 ‘대피소 전방 30m’ 표식이 있지만 실제로는 70m 떨어져 있다.

지하시설을 갖춘 행정기관은 일반적으로 대피소로 지정됐으나, 민간 건물에는 물건들로 막혀 비상 상황이 발생해도 이용하지 못해 무용지물로 지적되고 있다.

지난 2016년 민방위 업무지침이 변경됐지만 외국인 거주자가 많은 흥덕·청원구는 외국어 병기 표기를 하지 않은 주민 대피시설도 대부분이다.

민방위 대피시설인 지하도(상당·용암·오창지하도 등)에 방독면 30여개를 보관하고 있지만 수용 인원에 비해 부족한 수량에 자칫 대참사를 불라올 수 있는 탁상행정의 민낮을 드러내고 있다.

청주 동남지구 등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선 신지구는 대피소가 단 한 곳도 없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청주시 홈페이지에 대피소 시설현황을 게시하고 있지만 모바일에는 읍면별 대피소 현황이 없어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정부 '안전디딤돌·생활안전지도 앱' 대피소 위치 정보를 살펴보면 일원화 되지 않아 조속한 조치가 필요한 시점이다.

한 시민은 "최근 북한의 미사일 도발로 불안한 안보 상황을 접하고 있는데 정작 안전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어 빠른 조치를 해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충북도 일부 시·군은 행정안전부 권장하고 있는 대피소 면적조차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안보 전문가는 "대피소를 모른다면 자칫 큰 인명피해를 겪을 수 있다"며 "단순히 지하시설을 대피소 지정 외에 수용인원 및 거리 등을 고려한 운영 개선과 확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시 민방위 관계자는 "행정안전부와 협의해 대피소를 확충해 나가겠다"며 "비상물품 예산를 늘려 생명에 위협이 없도록 안전한 도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