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부 국장 전인철

최근 서산시에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에 대한 주민들의 반발 시위 등 문제를 삼고 있어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물론 시민들은 찬반의 목소리를 내며 합일점을 찾지못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다가오는 6월경에는 종지부를 찍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

서산시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일일 80t의 생활쓰레기가 발생하고 있으며, 대부분 공동주택에서 약 65%가 발생한다고 말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2013년 11월부터 연간 40억원을 들여 생활쓰레기를 전국 민간소각업체에 위탁처리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재정절감과 안정적인 생활폐기물 처리를 위해 서산시 소유 소각시설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 필자는 생각한다.

지난 3월 10일 서산시는 출입기자단을 초청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오해와 진실' 이란 테마로 서울시 마포자원회수시설과 아산생활자원처리장을 둘러봤다.

이날 참석한 언론인들은 소각시설에 대해 깜짝 놀랐으며, 청결하고 게다가 관광지로 탈바꿈한 모습을 보면서 필자도 편견을 버리기로 했다.

물론 시민 일부가 주장하는 공해와 땅값이 떨어진다는 이유도 이해되지만 생활쓰레기는 누구로부터 나오는가?

어짜피 시민들이 버린 쓰레기 아닌가?

당연히 시에서 발생하는 생활쓰레기는 지역에서 처리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며, 소각시설이 생기게 되면 그에 대한 열, 전기 등 수입도 시에 큰 재정도우미 역할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현재 서산시에서는 '폐기물처리(소각)시설 설치사업을 2012년부터 2020년까지 완료할 계획으로 사업비 700억원(국비50%,민간·지방비50%)을 들여 1일 200톤 처리목표를 두고 있다.

첫 번째로 시 소각시설 설치의 궁극적인 이유는 생활폐기물 처리 한계에 임박해 현재 시 잔여 매립 가능용량이 1년 6개월 정도 남았다는 것이다.

만약 대책을 마련하지 못할 경우 그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 몫이 되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소각시설 운영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를 시민들이 지적하고 있지만 소각시설은 다이옥신이 배출되어 생활환경에 피해를 주는 선입견이 있으나, 현재는 소각 기술이 발전해(기준:0.1ng/㎥, 운영평균 0.006ng/㎥) 대비 100분의 6 수준으로 배출되고 있으며, 이는 주민건강에 전혀 피해가 없는 수준이라고 2015년 전국 생활폐기물 자원회수시설 운영협의회에서 밝힌바 있다.

또한 소각시설 굴뚝에 TMS(자동측정시스템)를 설치해 배출 물질을 5분 단위로 측정해 환경부 산하 기관인 한국환경공단과 시에 실시간 전송되는 시스템을 구축해 완벽한 감시체계를 구축한다.

뿐만 아니라 실제로 서울 수도권(강남구, 노원구, 목동)에선 전국 다수의 소각시설이 인구 밀집지역에 설치되어 있어 가동 중에 있는 것도 현실이다.

그 밖에도 소각시설에서는 많은 전기 생산과 폐열이 자원으로 이용되어 주변 시민들에게 공급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감의 차원에서도 이득이 되고 시에서도 생활쓰레기 처리비용 또한 절감이 되어 두 마리 토끼를 한 꺼번에 잡을수 있다.

반대 아닌 반대보다는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충분히 숙지하고 힘을 합쳐 살기좋은 서산으로 만드는 것이 우리 서산 시민들이 해야할 몫이 아닌가 생각한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